2024. 9. 28. 07:35ㆍ영문법
8-6. 조동사 Do,Need,Dare
① 조동사 Do
1. 어순도치 방지
의문문이나 부정문에서 주어+동사 구조가 도치되지 않게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 참조
부정문에서 강조를 위해 부정어(not,never,neither,little,seldom,Hardly 등)를 문장 맨 앞으로 보내고 문장을 도치시킬 수 있다.
예시)
He is not only talented but also hardworking.
→ Not only is he talented, but he is also hardworking.
그는 재능이 있을 뿐만 아니라 성실하기도 하다.
예시)
평서문 : You like coffee.
너는 커피를 좋아한다.
의문문 : Do you like coffee?
너는 커피를 좋아하니?
→ Do를 사용 해서 주어+동사 구조의 도치 방지.
Like you coffee? (X)
일반 부정문: I never experienced such a terrible accident.
나는 결코 그렇게 끔찍한 사고를 경험해본 적 없다.
부정어 도치: Never did I experience such a terrible accident.
→ Did를 사용 해서 주어+동사 구조의 도치 방지.
Never experienced I such a terrible accident.(X)
2. 대동사
앞에 쓰인 동사를 대신해준다. 의미 또한 앞에 나온 동사로 한다.
예시)
She enjoys reading books, and so do I.
그녀는 책 읽는 것을 즐긴다, 그리고 나도 그렇다.
→ do = enjoys reading books.
They visited the museum last week, just as we did.
그들은 우리가 그랬듯이 지난주에 박물관을 방문했다.
→ did = visited the museum.
3. 강조
do + 동사원형 형태로 쓰여서 동사를 강조한다.
평서문에서는 '정말로 ~하다' 라는 의미로 쓰이고,
명령문에서는 '반드시 ~해라'라는 의미로 쓰인다.
의문문이나 부정문에서는 강조의 의미로 쓰지 않는다.

예시)
She does look beautiful in that dress.
그 드레스를 입은 그녀는 정말로 예뻐 보인다.
They did enjoy the concert.
그들은 그 콘서트를 정말 즐겼다.
Do finish your homework before dinner.
저녁식사 전에 네 숙제를 반드시 끝내라.
② 조동사 Need
need는 평서문에서는 일반 동사역할을 하고 뒤에 목적어나 to V를 수반한다. (need to V = ~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부정문과 의문문에서는 '~할 필요가 있다'라는 의미의 조동사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조동사이기 때문에 뒤에 동사원형을 수반한다.
조동사 역할을 할 때는 needs라고 쓰면 안된다.
1. ~할 필요가 없다.

예시)
He need not worry about the deadline. (이 문장의 need는 조동사 need)
= He do not need to worry about the deadline. (이 문장의 need는 일반동사 need, 여기서는 do가 조동사)
그는 마감일에 대해서 걱정할 필요가 없다.
→ He needs not worry about the deadline.(X) 이 때의 need는 조동사라서 needs라고 쓰면 안된다.
He need not to worry about the deadline.(X) 마찬가지로 조동사라서 to V가 아닌 동사원형을 써야한다.
※ 참조
He needs to stop by the bank.
그는 은행에 잠시 들를 필요가 있다. (stop by = 잠시 들르다)
→ 평서문에서의 need는 일반동사 이므로 동사의 수의 일치 규칙을 적용 해야 한다. (주어가 He,She 등일때 needs 라고 써줘야 함.)
2. ~할 필요가 없었다.
단순히 과거에 어떤 행동이 필요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하지만 실제로 그 행동을 했는지 안 했는지는 알 수 없다.

예시)
You did not need to bring an umbrella yesterday.
너는 어제 우산을 들고 올 필요가 없었다.
3. ~할 필요까진 없었다.
과거에 행한 어떤 행동에 대해 불필요했다며 아쉬움이나 후회를 담는 내용이다. 즉, 실제로는 했음.

예시)
You need not have brought an umbrella yesterday.
너는 어제 우산을 들고 올 필요까진 없었다.
→ You need not to have brought an umbrella yesterday.(X)
여기서의 need는 조동사이기 때문에 그냥 동사원형을 쓴다.
4. ~할 필요가 있습니까?

③ 조동사 Dare
Dare또한 Need와 마찬가지로 평서문에서는 일반 동사역할을 하고 뒤에 to V를 수반한다. (dare to V = 감히 ~하다.)
하지만, 부정문과 의문문에서는 '감히 ~하다'라는 의미의 조동사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조동사이기 때문에 뒤에 동사원형을 수반한다.
조동사 역할을 할 때는 dares라고 쓰면 안된다.
1. 감히 ~하지 못하다.

예시)
He dare not go there.
= He does not dare to go there.
그는 감히 거기 가지 않는다.
→ He dares not go there.(X) 이때의 dare은 조동사이기 때문에 dares라고 쓰면 안된다.
He dare not to go there.(X) 마찬가지로 조동사이기 때문에 to V가 아니라 뒤에 동사원형을 써야한다.
※ 참조
Who dares to challenge my authority?
누가 감히 내 권위에 도전하는가?
→ 의문문이긴 하지만 여기서의 dare는 일반동사 이므로 동사의 수의 일치 규칙을 적용 해야 한다. (주어가 He,She 등일때 dares 라고 써줘야 함.)
2. 감히 ~합니까?

예시)
Dare she speak up in the meeting?
= Does she dare to speak up in the meeting?
감히 그녀가 회의에서 의견을 낼 수 있을까?
조동사 Do,Need,Dare 요약
① 조동사 Do
1. 어순도치 방지
의문문이나 부정문에서 주어+동사 구조가 도치되지 않게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2. 대동사
앞에 쓰인 동사를 대신해준다. 의미 또한 앞에 나온 동사로 한다.
3. 강조
do + 동사원형 형태로 쓰여서 동사를 강조한다.
평서문에서는 '정말로 ~하다' 라는 의미로 쓰이고,
명령문에서는 '반드시 ~해라'라는 의미로 쓰인다.
의문문이나 부정문에서는 강조의 의미로 쓰지 않는다.

② 조동사 Need
need는 평서문에서는 일반 동사역할을 하고 뒤에 목적어나 to V를 수반한다. (need to V = ~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부정문과 의문문에서는 '~할 필요가 있다'라는 의미의 조동사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조동사이기 때문에 뒤에 동사원형을 수반한다.
조동사 역할을 할 때는 needs라고 쓰면 안된다.
1. ~할 필요가 없다.

2. ~할 필요가 없었다.
단순히 과거에 어떤 행동이 필요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하지만 실제로 그 행동을 했는지 안 했는지는 알 수 없다.

3. ~할 필요까진 없었다.
과거에 행한 어떤 행동에 대해 불필요했다며 아쉬움이나 후회를 담는 내용이다. 즉, 실제로 했음.

4. ~할 필요가 있습니까?

③ 조동사 Dare
Dare또한 Need와 마찬가지로 평서문에서는 일반 동사역할을 하고 뒤에 to V를 수반한다. (dare to V = 감히 ~하다.)
하지만, 부정문과 의문문에서는 '감히 ~하다'라는 의미의 조동사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조동사이기 때문에 뒤에 동사원형을 수반한다.
조동사 역할을 할 때는 dares라고 쓰면 안된다.
1. 감히 ~하지 못하다.

2. 감히 ~합니까?

'영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9-2.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비제한적 관계절) (1) | 2024.09.30 |
---|---|
9-1. 관계대명사의 역할과 종류 (0) | 2024.09.29 |
8-5. 조동사 Should (2) | 2024.09.27 |
8-4. 조동사 Will & Would (0) | 2024.09.26 |
8-3. 조동사 Must (0) | 2024.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