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5. 조동사 Should

2024. 9. 27. 07:37영문법

728x90
반응형

8-5. 조동사 Should

 

 

조동사 Should

 

1. 의무, 당위

~해야 한다. = ought to

 

예시)

He should apologize for his mistake.

 = He ought to apologize for his mistake.

그는 그의 실수에 대해서 사과해야 한다.

 

2. 과거 사실의 후회

Should have p.p = ought to have p.p 의 형태로 쓰이며,

'~했어야 했다.' 라는 후회의 의미로 쓰인다.

특히 ought to를 쓰는 경우, 부정문일 때 not이나 never가 to 앞에 쓰인다는 점에 주의하자.

 

 

예시)

You should have studied harder for the exam.

= You ought to have studied harder for the exam.

너는 시험을 위해서 더 열심히 공부 했어야 했다.

 

 

You should not have eaten so much cake.

You ought not to have eaten so much cake.

너는 그렇게 많은 케이크를 먹지 말았어야 했다.

→ You ought to have not eaten so much cake.(X) 틀린문장. not이 to 앞에 쓰여야 한다.

 

 

3. that 절 뒤에 쓰이는 should

 

(1) 주장,제안,명령,요구 동사 + 당위성(~해야함)을 담은 내용

 

주장,제안,명령,요구 동사 뒤에 당위성을 담은 내용이 오는 경우 Should가 생략될 수 있으며, 

 

Should가 생략 되더라도 뒤의 동사 그대로 동사원형이 쓰인다.

 

따라서 이 경우, 문장의 시제 일치 및 수의 일치 규칙을 따르지 않는다.

 

단, 뒤에 나오는 내용이 당위성을 담은 것이 아니라면 should가 쓰인 것이 아니기 때문에 시제나 수의 일치 규칙을 따라야 한다.

 
 
 
기본적인 문장 형태
 
 
예시)
I suggested that she take a break.
나는 그녀가 휴식을 취해야한다고 제안했다.
→ I suggested that she took a break.(X) 틀린문장. 앞에 should가 생략된 것이기 때문에 시제일치 규칙을 따르지 않고 동사원형을 써야한다.
 
 

당위성이 없는 경우

The teacher insisted that he was sick.
선생님은 그가 아팠다고 주장했다.
→ The teacher insisted that he is sick.(X) 틀린문장. 이 경우 그가 아픈 것은 마땅히 해야하는 일이 아니므로 시제를 일치시켜줘야 한다.
 
 
 
 
(2) 필요성,중요성,긴급성을 담은 내용
 
필요,중요,긴급성 등의 주관적인 판단과 함께 that + S + should + V 형태의 문장이 오는 경우 should를 생략 가능하다.
 
Should가 생략 되더라도 뒤의 동사 그대로 동사원형이 쓰인다.
 
 
 
 
기본적인 문장 형태


 
 
예시)
It is essential that he arrive on time.
그가 제시간에 도착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3) 감정의 원인
 
주로 놀람,실망,의문,걱정 등의 감정과 관련된 문장에 should가 쓰여서 해당 사건에 대해 예상치 못함, 의외성, 의아함의 뉘앙스를 줄 수 있다. 
should를 생략할 수 있긴하지만 쓰는게 더 자연스럽다.
 
기본적인 문장 형태
 
 
 
 
 
예시)

It is strange that he should forget something so important.
그가 그렇게 중요한 것을 잊다니 이상하다.
 
It is a pity that he should lose his job after all his hard work.
그가 그렇게 열심히 일한 후에 직장을 잃다니 불쌍하다.
 
 
 
 
 
4. 강한 의문, 놀람
주로 의문사와 함께 쓰여서 '도대체'라는 뜻으로 쓰인다.
 
예시)
Why should it matter?
그게 도대체  중요하지?
 
Who should take responsibility for this!
도대체 누가 이 일에 대한 책임을 진단 말인가!
 
 
 
 
5. 특별 용법
lest + S + should + V 형태로 쓰여서
'S가 ~할까봐' , 'S가 ~하지 않도록' 라는 의미로 쓰인다.
 
애초에 부정의 의미이므로 not을 쓰는 실수를 하지 않게끔 주의하자!
 
기본적인 문장 형태


 
 
 
예시)
She spoke quietly lest she should wake the baby.
= She spoke quietly for fear that she should wake the baby.
그녀는 아기를 깨울까봐 조용히 말했다.
 
 She spoke quietly lest she should not wake the baby.(X)
She spoke quietly for fear that she should not wake the baby.(X)
 
 
 
※ 참조
비슷한 의미의 용법들 = ~하지 않도록
 
🔽so that S may not 동사원형
🔽in order not to V
🔽so as not to V
🔽for fear that S should V
🔽for fear of ing
 
 
예시)
 
She spoke quietly so that she may not wake the baby.
= She spoke quietly in order not to wake the baby.
= She spoke quietly so as not to wake the baby.
= She spoke quietly for fear of waking the baby
그녀는 아기가 깨지 않도록 조용히 말했다.
 
 
 
 

조동사 Should 요약

 

1. 의무, 당위

~해야 한다. = ought to

 

2. 과거 사실의 후회

Should have p.p = ought to have p.p 의 형태로 쓰이며,

'~했어야 했다.' 라는 후회의 의미로 쓰인다.

특히 ought to를 쓰는 경우, 부정문일 때 not이나 never가 to 앞에 쓰인다는 점에 주의하자.

 

3. that 절 뒤에 쓰이는 should

 

(1) 주장,제안,명령,요구 동사 + 당위성(~해야함)을 담은 내용

 

주장,제안,명령,요구 동사 뒤에 당위성을 담은 내용이 오는 경우 Should가 생략될 수 있으며, 

Should가 생략 되더라도 뒤의 동사 그대로 동사원형이 쓰인다.

따라서 이 경우, 문장의 시제 일치 및 수의 일치 규칙을 따르지 않는다.

단, 뒤에 나오는 내용이 당위성을 담은 것이 아니라면 should가 쓰인 것이 아니기 때문에 시제나 수의 일치 규칙을 따라야 한다.

 

 
기본적인 문장 형태

 

(2) 필요성,중요성,긴급성을 담은 내용
 
필요,중요,긴급성 등의 주관적인 판단과 함께 that + S + should + V 형태의 문장이 오는 경우 should를 생략 가능하다.
 
Should가 생략 되더라도 뒤의 동사 그대로 동사원형이 쓰인다.
 
 
 
 
기본적인 문장 형태
 
 
 
(3) 감정의 원인
 
주로 놀람,실망,의문,걱정 등의 감정과 관련된 문장에 should가 쓰여서 해당 사건에 대해 예상치 못함, 의외성, 의아함의 뉘앙스를 줄 수 있다. 
should를 생략할 수 있긴하지만 쓰는게 더 자연스럽다.
 
기본적인 문장 형태
 
 
 
4. 강한 의문, 놀람
 
주로 의문사와 함께 쓰여서 '도대체'라는 뜻으로 쓰인다.
 
 
 
5. 특별 용법
lest + S + should + V 형태로 쓰여서
'S가 ~할까봐' , 'S가 ~하지 않도록' 라는 의미로 쓰인다.
 
애초에 부정의 의미이므로 not을 쓰는 실수를 하지 않게끔 주의하자!
 
기본적인 문장 형태
728x90
반응형

'영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9-1. 관계대명사의 역할과 종류  (0) 2024.09.29
8-6. 조동사 Do,Need,Dare  (2) 2024.09.28
8-4. 조동사 Will & Would  (0) 2024.09.26
8-3. 조동사 Must  (0) 2024.09.25
8-2. 조동사 May & Might  (11) 2024.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