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7. 29. 20:27ㆍ영문법
1-5-2.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 - ② 형용사,부사 수식 및 독립 부정사
② 형용사,부사 수식 및 독립 부정사
1. 형용사 + to V
TO 부정사가 앞에 오는 형용사를 수식하며 주로 ~하기에 라고 해석한다.

기본적인 문장 형태
예시)
This coffee is hot to drink.
이 커피는 뜨겁다 마시기에
2. enough + to V
🔽 enough + 명사 + to V
enough 가 명사와 함께 쓰일 때는 명사 앞에 사용되며 ~하기에/~할만큼 충분한 이라는 의미로 쓰인다.

기본적인 문장 형태
예시)
He has enough money to buy the car.
그는 그 차를 살만큼 충분한 돈을 가지고 있다.
🔽 [형용사/부사] + enough + to V
enough 가 형용사나 부사와 함께 쓰일 때는 [형용사/부사] 뒤에 사용되며 ~하기에, ~할 만큼 충분히 ~한/하게 라는 의미로 쓰인다.
특히 해석을 충분히 ~한/~하게 라고 하는데다가
enough가 명사와 쓰일 때는 앞에다가 쓰기 때문에
앞에다가 잘못 쓰는 경우가 많다.

기본적인 문장 형태
예시)
You are old enough to understand my advice. (O)
당신은 충분히 나이를 먹었다 내 조언을 이해 할 만큼.
→ You are enough old to understand my advice. (X)
She can't run fast enough to catch him. (O)
그녀는 충분히 빠르게 달릴 수 없다 그를 붙잡을 만큼.
→ She can't run enough fast to catch him. (X)
3. too + [형용사/부사] + to V
to V 하기에는 너무 ~한/~하게 또는 너무 ~해서 ~할 수 없다 라는 의미로 쓰인다.

기본적인 문장 형태
예시)
This soup is too hot to eat.
이 수프는 먹기에 너무 뜨겁다.
= 이 수프는 너무 뜨거워서 먹을 수 없다.
He drove too quickly to see the sign.
그는 표지판을 보기에 너무 빠르게 운전했다.
= 그는 너무 빠르게 운전해서 표지판을 볼 수 없었다.
※ 참조
too + [형용사/부사] + to V 는
so + [형용사/부사] + that + S + V 형태로 바꿔 쓸 수 있다.
다만, too~ to V 형태의 구문에서는 목적어가 문장의 주어와 동일할 때 생략하고 적지 않으나
so ~ that 구문에서는 그런 것 상관 없이 항상 적어준다는 차이점이 있다.
아래의 예시에서 확인 해보자.
예시)
CASE 1. 문장의 주어와 목적어가 동일한 경우
This soup is too hot to eat. (O)
→ This soup is too hot to eat it. (X)
too~ to V 구문에서는 주어와 목적어가 둘 다 soup 로서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
= This soup is so hot that I can't eat it. (O)
→ This soup is so hot that I can't eat. (X)
so ~ that 구문에서는 that 뒤의 문장이 완전해야 해서 주어,목적어가 동일해도 생략할 수 없다.
CASE 2. 문장의 주어와 목적어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He is too fat to bend his body. (O)
→ He is too fat to bend. (X)
주어는 He 이고 목적어는 his body 로서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생략하면 안된다.
= He is so fat that he can't bend his body. (O)
→ He is so fat that he can't bend. (X)
마찬가지로 so ~ that 구문에서는 that 뒤의 문장이 완전해야 해서 생략할 수 없다.
※ 참조
so that + S + V
so that 이 붙어서 쓰이는 경우 S 가 V 하기 위해서 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예시)
We brought umbrellas so that we wouldn't get wet in the rain.
→ 우리는 비 속에서 젖지 않기 위해 우산을 들고 왔다
4. 독립부정사
관용적인 표현들로서 문장 전체를 수식한다.
대표적인 독립부정사 표현들
to begin with 우선
so to speak 소위
strange to say 이상한 얘기지만
to be [frank/honest] (with you) (너에게만) 솔직히 말하자면
to make matters worse 설상가상으로
not to speak of = to say nothing of 말할 것도 없이
to [cut/make] a long story short 간단히 말해서
예시)
To be frank, I've never liked cucumber.
솔직히 말하자면, 나는 결코 오이를 좋아해본 적이 없어요.
= To be honest, I've never liked cucumber.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 요약
1.


2.

3.

4. TO 부정사가 조동사 will, would 랑 쓰일 때는 '~하면' 이라는 의미로 쓰인다.
5.

6.

7.

8.

9.


10.

11. 대표적인 독립부정사 표현들
to begin with 우선 so to speak 소위
strange to say 이상한 얘기지만
to be [frank/honest] (with you) (너에게만) 솔직히 말하자면
to make matters worse 설상가상으로
not to speak of = to say nothing of 말할 것도 없이
to [cut/make] a long story short 간단히 말해서
'영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 동명사의 의미상 주어(동작의 주체) (2) | 2024.07.30 |
---|---|
2-1. 동명사의 역할 (0) | 2024.07.29 |
1-5-1.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 - ① 부사적 의미 (0) | 2024.07.29 |
1-4. TO 부정사의 부정,수동,시제 (0) | 2024.07.28 |
1-3. TO 부정사의 의미상 주어(동작의 주체) (0) | 2024.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