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1.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 - ① 부사적 의미

2024. 7. 29. 20:02영문법

728x90
반응형

1-5-1.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 - ① 부사적 의미 

 

① 부사적 의미

동사,형용사,부사 등을 수식하며 목적,원인,이유 및 판단의 근거,조건,결과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1.목적

TO 부정사가 ~하기 위해서(= in order to, so as to) 라는 뜻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콤마)를 사용한다.

기본적인 문장 형태 1



 

 

또한 TO 부정사를 문장 뒤로 보낼 수도 있으며 문장에서 강조하는 부분이 달라진다. 이 때는 일반적으로 ,(콤마)를 사용하지 않는다.

기본적인 문장 형태 2



 

 

 

예시)

To pass the exam, I study hard.

그 시험을 통과하기 위해서, 나는 공부를 열심히 한다.

→ 시험을 통과하기 위함이었다는 부분을 강조하는 내용.

 

※ 참조

To pass the exam I study hard. 와 같이 문장에서 ,(콤마)를 빼도 틀린 것은 아니나 일반적으로 문장을 매끄럽게 하기 위해 굳이 빼지 않는다.

 

I study hard to pass the exam.

나는 공부를 열심히 한다 통과하기 위해서 그 시험을

→ 공부를 열심히 한다는 부분을 강조하는 내용.

 

※ 참조

I study hard, to pass the exam. 과 같이 문장에서 ,(콤마)를 사용해도 틀린 것은 아니나 특별히 문장의 스타일을 위해서 쓴다거나 강조를 위해 쓴다거나 하는 목적이 없는 이상 기본적으로 쓰지 않는다.

 

※ 참조

S+V+to V 형태의 문장은 to V가 목적어로 쓰이는 경우도 있다.(명사적 용법)

 

 

그러한 명사적 용법과 아래의 부사적 용법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문장에서 to V 가 빠졌을 때 문장이 말이되는지 확인해보면 된다.

 

예시)

She learned to drive a car.

그녀는 배웠다 자동차 운전하는 것을.

 

To 부정사 문장을 없애면 → She learned ...  그녀는 배웠다...  대체 뭘 배운 것일까?

 

위와 같이 명사적 용법인 ~하는 것 일 때 to V를 빼버리면 문장이 완결이 안된다.

 
 

I study hard to pass the exam.

나는 시험을 통과하기 위해 열심히 공부한다.

 

To 부정사 문장을 없애면 → I study hard...    나는 열심히 공부한다...

 

위와 같이 부사적 용법인 ~하기 위해서 일 때는 to V를 빼도 문장이 완결된다.

 
 

2.감정

 감정을 나타내는 형용사 뒤에 to V가 붙으면 감정의 원인을 설명한다.

 

 

기본적인 문장 형태

 

 

예시)

I am sorry to hear that news.

나는 유감이다 그 소식을 들어서

 

Nice to meet you!

좋습니다 당신을 만나서!

 
 

3.이유 및 판단의 근거

 

주로 must be(~임에 틀림없다), cannot be(~일리가 없다)와 함께

to V가 쓰여서 ~하다니,~하는걸 보니 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기본적인 문장형태

 
 

예시)

He must be really desperate to ask for help like that.

그는 정말로 절박함에 틀림없다 그러한 도움을 요청하다니

 

She cannot be thinking clearly to make a decision like that

그녀가 분명하게 생각하고 있을리가 없다 그러한 결정을 하다니

 

 

4.조건

 

TO 부정사가 조동사 will 또는 would와 함께 쓰일 때~하면 이라고 해석한다. 

 

TO 부정사 will 과 함께 쓰일 때 조건, would와 함께 쓰일 때 가정 이다.

라고는 하는데 그렇게 말하면 잘 와닿지 않을 테니 예시를 통해서 확인해보자

 

 

예시)

 

To attend the conference, they will be happy.

그 회담에 참석하면, 그들은 행복해 할 것이다.

= They will be happy to attend the conference.

 

이렇게 will 을 쓰는 경우 확정적인 내용을 암시한다.

 

회담에 참석하는 것은 확정적으로 일어날 미래이고 회담에 참석하는 그 '조건'이 달성되는 순간에 행복해 할 것이라는 뉘앙스이다. 

 

 
 

To attend the conference, they would be happy.

그 회담에 참석하면, 그들은 행복해 할 텐데.

= They would be happy to attend the conference.

 

would를 쓰게되면 가정적인 내용을 암시한다.

 

회담에 참석하는 일이 일어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지만 참석하는 일이 일어난다고 '가정'했을 때 행복해 할 것이라는 뉘앙스이다.

 

 
 

※ 참조

가정법 문장과의 차이

To attend the conference, they would be happy. 는 부정사 문장이고

 

If they attended the conference, they would be happy는 가정법 과거 문장이다.

 

이 두 문장이 무슨 차이냐? 하고 물어본다면

 

일단 두 문장 다 해석은 같아보여도

부정사를 이용한 가정 문장은 참석하는 일이 일어날지 아닐지는 모르겠으나 참석한다면 기뻐할 것이라는 뉘앙스이고

 

가정법 문장은 그들이 참석하지 못한 상황에서 참석했다면 기뻐했을 텐데 하고 아쉬워 하는 뉘앙스가 있다.

 

 

 
 

5. 결과

 

TO 부정사의 부사적인 용법 중에서는 ~해서 (그 결과로) To V 하다 라는 뜻으로 쓰이는 경우가 있다.

 
 

(1)  자연동사

 

grow up 자라다, awake 일어나다, live 살다 와 같이 자연적으로 일어나는 부류의 자연동사들과 To V 가 함께 쓰이면 ~하고 보니 to V 하다 라는 의미로 쓰인다. 

 

감이 잘 안온다면 ~하기 위해서 라고 해석해봤더니 어색 할 때~하고보니 ~하다 로 해석을 시도 해보자.

 
 

기본적인 문장 형태



※ 영어로는 이러한 부류의 자연동사를 'Verbs of becoming' 라고 부른다.

 

예시)

The child awoke to find all this a dream.

그 아이는 일어나고 나서 알게됐다 이 모든 게 꿈이었음을(O)

 

→ 그 아이는 이 모든 게 꿈이었음을 알기 위해 일어났다?? (X)  해석이 어색하다.

 

 

She lived to be 75 years old.

그녀는 살다보니 75세가 되었다.

 

→ 그녀는 75세가 되기 위해 살았다 ?? (X) 해석이 어색하다.

 
 

(2) Never to V

 

never to V 는 문맥에 따라 두 가지 해석이 가능하다. 

 
 

본동사의 분위기와 to V 의 내용이 반전되는 경우, ~하다 그러나 결코 ~하지 못하다 

또는 ~하지 않다로 해석하고, 

 
 

본동사와 to V의 내용의 분위기가 같다면, ~하다 (그리고 그 결과로) ~결코 ~하지 못하다 

또는 ~하지 않다 라고 해석한다.

 
 
기본적인 문장 형태
 
 

예시)

 

CASE 1. 분위기의 반전이 있을 때

 

Tom tried hard never to win the game

톰은 그 게임에서 결코 이기지 못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했다??? (X)

→ 톰은 열심히 노력 했지만 결코 그 게임에서 승리하지 못했다. (O)

 

열심히 한것은 (+) 적인 상황, 게임에서 승리하지 못한 것은 (-) 적인 상황

 
 
 

she lost her way in the forest never to fear again.

그녀는 결코 다시는 두려워하지 않기 위해 숲에서 길을 잃었다?? (X)

 

→ 그녀는 숲에서 길을 잃었지만 결코 다시는 두려워하지 않았다. (O)

 

 

길을 잃은 것은 (-) 적인 상황, 두려워하지 않는 것은 (+) 적인 상황

 
 
 

CASE 2. 분위기의 반전이 없을 때

 

Tom tried hard never to lose the game.

톰은 열심히 노력 했고 결코 그 게임에서 패배하지 않았다.

 

열심히 노력한 것과 게임에서 패배하지 않은 것은 둘 다 (+) 적인 상황

 
 

He left his hometown never to return.

그는 그의 고향을 떠났고 결코 돌아오지 않았다.

 

고향을 떠난 것과 다시 돌아오지 않은 것은 둘 다 (-) 적인 상황으로 볼 수 있다.

 
 

※ 참조

Never to V 구문을 사용 할 때, 특정 정보나 결과의 강조를 위해서 문장에 ,(콤마)를 넣기도 한다.

 

예시)

Tom tried hard never to win the game.

→ Tom tried hard, never to win the game.

 

 

He left his hometown never to return.

→ He left his hometown, never to return

 

 
 

(3) Only to V

Only to V 또한 문맥에 따라 두 가지 해석이 가능하다.

 

본동사의 분위기와 to V 의 내용이 반전되는 경우, ~하다 그러나 ~하다 라고 해석하고, 

 

본동사와 to V의 내용의 분위기가 같다면, ~하다 단지 ~ 하기 위해서 라고 해석한다.

 
 

기본적인 문장 형태

 

예시)

 

CASE 1. 분위기의 반전이 있을 때

 

 

She studied all night for the exam only to realize it was postponed.

그녀는 단지 시험이 연기되었다는 것을 깨닫기 위해 밤새 시험 공부를 했다?? (X)

 

→ 그녀는 시험을 위해 밤새 공부했지만 시험이 연기되었다는 것을 깨달았다.

 

※ 참조

Never to V 구문과 비교하면 좀 더 예상치 못하고 아이러니한 뉘앙스가 강하다.

 

 

 

CASE 2. 분위기의 반전이 없을 때

 

He traveled across the country only to meet her again.

그는 전국을 여행했다 단지 그녀를 다시 만나기 위해서.

 

 

※ 참조

Only to V 구문 또한 특정 정보나 결과의 강조를 위해서 문장에 ,(콤마)를 넣기도 한다.

 

예시)

She studied all night for the exam only to realize it was postponed. 

→ She studied all night for the exam, only to realize it was postponed. 

 

He traveled across the country only to meet her again.

→ He traveled across the country, only to meet her again.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