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10. 15. 16:27ㆍ영문법
14-3. 부사절을 이끄는 종속 접속사
부사절
문장에서 주어,목적어,보어 등의 역할을 하지않고 문장에 대한 설명을 추가해주며, 문장의 구성요소가 아니기 때문에 사라져도 문장이 완결된다.
※ 참조
부사절 처럼 문장의 요소를 꾸며주거나 설명해주는 절을 종속절이라고 하며,
꾸밈을 받는 절을 주절이라고 한다.
종속절이 주절을 상세하게 꾸미거나 설명해주는 경우, 주절을 더욱 강조하는 것으로 글쓴이가 말하고자 하는 핵심 내용이 담겨있기 때문에 주절을 주의깊게 봐야한다.
① 시간과 관련된 절을 가져오는 종속접속사
🔽 [when/as] + S + V → S가 V할 때
예시)
Call me when you get home.
집에 도착할 때 전화해.
She waved goodbye as the train left the station.
기차가 역을 떠날 때 그녀는 손을 흔들어 인사했다.
🔽 while + ing / while + S + be + ing → ~하는 동안/ S가 ~하는 동안
예시)
He listened to music while driving.
그는 운전하는 동안 음악을 들었다.
He set the table while she was cooking.
그녀가 요리하는 동안 그는 상을 차렸다.
※ 참조
duiring → ~동안
while 처럼 '~동안'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나
while과 다르게 during은 전치사 이기 때문에 뒤에 명사(구) 및 동명사(ing)만 받을 수 있다.
예시)
During the meeting, he took notes.
회의 동안, 그는 메모를 했다.
During his stay, he visited many places.
그의 체류기간 동안, 그는 많은 장소를 방문했다.
→ During he was staying, he visited many places.(X)
→ While he was staying, he visited many places.(O)
그가 머무는 동안에, 그는 많은 장소를 방문했다.
🔽 whenever + S + V → S가 V할 때마다 / 언제 S가 V 하든지
※ 참조
'S가 V 할 때마다' 라는 의미일 때 whenever은 접속사고,
'언제 S가 V 하든지' 라는 의미일 때의 whenever은 복합관계부사로 분류되긴 하는데, 굳이 그런거 따지고 있지말자.
예시)
Whenever he visits his grandmother, he brings her flowers.
그는 할머니집에 방문할 때마다, 꽃을 가져간다.
Whenever you come, you are welcome.
네가 언제 오든지, 환영이야.
🔽 before + S + V → S가 V 하기 전에
예시)
Before you eat, wash your hands.
먹기 전에, 네 손을 씻어라
🔽 after + S + V → S가 V 한 후에
예시)
After he finishes work, he usually goes to the gym.
그는 일을 끝내고난 후에, 보통 체육관에 간다.
🔽 Since + S + V → S가 V한 이후로,때부터 / S가 V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현재완료,과거완료형 문장과 함께 쓰일 때, '이후로' 의 의미로 쓰이고
대부분의 문장에서는 '때문에'의 의미로 쓰인다.
예시)
I have been studying English since I was a child.
나는 어렸을 때부터 영어공부를 해오고 있다.
Since you are here, we can start the meeting.
당신이 여기 있기 때문에, 우리는 회의를 시작할 수 있다.
🔽 Until + S + V → S가 V할 때까지
예시)
We can't leave until the rain stops.
비가 멈출 때까지 우리는 떠날 수 없다.
※ 참조
전치사로서의 until
until은 접속사 뿐만 아니라 전치사로도 쓸 수 있다.
의미는 '~까지'로 접속사와 같지만 전치사이기 때문에 뒤에 명사(구)만이 올 수 있다.
예시)
She will stay here until tomorrow.
그녀는 내일까지 여기 머무를 것이다.
※ 참조
It is not until ~ that S + V → ~하고 나서야 S가 V 하다 / ~때까지 S가 V하지 않다.
예시)
It is not until you try that you realize how difficult it is.
시도해보고 나서야 당신은 그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깨닫는다.
= 당신이 시도해볼 때까지는 그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깨닫지 못한다.
= you don't realize how difficiult it is until you try.
It is not until midnight that she leaves.
자정이 되고나서야 그녀는 떠난다.
= 자정이 될 때까지 그녀는 떠나지 않는다.
= She doesn't leave until midnight.
🔽 as soon as + S + V → S가 V하자마자
= No sooner + had + S + p.p than + S + 과거동사
= 부정부사(Hardly,Scarcely,Seldom 등) + had + S + p.p + [when/before] + S + 과거동사
다만, 이 두 가지 표현은 과거시제일때만 사용가능.
예시)
As soon as he arrived, we started the meeting.
= No sooner had he arrived than we started the meeting.
= Hardly had he arrived when we started the meeting.
= Hardly had he arrived before we started the meeting.
그가 도착하자마자, 우리는 회의를 시작했다.
I will call you as soon as I finish my work.
내 일을 끝내자마자 너에게 전화할게
② 원인을 나타내는 종속접속사
문장에서 인과관계는 중심내용을 암시하므로 주의깊게 봐야한다.
1. since / as / now that
인과관계를 나타내는 종속접속사로 가벼운 이유를 나타낸다.
🔽 Since + S + V → S가 V하기 때문에
듣는 사람도 알고 있는 사실이나 명백한 이유를 제시할 때 주로 쓰인다.
예시)
Since you finished your work early, you can leave now.
네가 일을 일찍 끝냈기 때문에, 지금 떠나도 된다.
🔽 as + S + V → S가 V하기 때문에
듣는 사람도 알고 있는 사실이나 딱히 중요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 말할 때 사용하며,
이유를 설명하기 보다는 상황을 부드럽게 연결해주는 느낌이다.
예시)
As it’s raining, let’s stay indoors.
비가 오고 있으니, 실내에 있자.
🔽 now that + S + V → 지금 S가 V하니까 / S가 V한 지금
현재 시점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으로 인한 현재나 미래 상황의 변화를 말할 때 쓰는 표현이다.
Now that 절의 시제는 보통 현재시제나 현재완료(have+p.p)시제를 사용한다.
예시)
Now that you mention it, I do remember meeting him.
지금 니가 그걸 말하니까, 내가 그를 만났던게 확실히 기억나.
Now that you have graduated from university, you will have to find a job.
이제 너는 대학을 졸업했으니, 일자리를 찾아야 할 것이다.
2. because
인과관계를 나타내는 종속접속사로 강한 인과관계를 나타낸다.
원인 부분이 듣는 사람이 모르던 새로운 정보로서 제공되는 경향이 있으며, 결과 뿐만 아니라 원인 또한 중요한 정보로서 강조하는 뉘앙스가 있다.
예시)
She left early because she had an important meeting.
그녀는 일찍 떠났다 왜냐하면 중요한 회의가 있었기 때문이다.
③ 목적,결과를 나타내는 종속접속사
1. 목적
🔽 so that + S + [will/can/may] + 동사원형 → S가 ~하기 위해서
과거 시제 문장일 때는 조동사 또한 과거형(would,could,might)으로 적어야 한다는 점에 주의하자.
문장의 의미가 명확한 경우, 조동사를 생략할 수 있긴 하지만 안하는게 더 낫다.
또한 조동사를 생략하더라도 뒤에 나오는 동사는 동사원형으로 써야한다.
예시)
I exercise regularly so that I can stay healthy.
나는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 규칙적으로 운동한다.
She left early so that she could catch the bus.
그녀는 버스를 잡기 위해서 일찍 떠났다.
Move closer so that you hear better.
네가 더 잘 들을 수 있도록 더 가까이 이동해라.
※ 참조
in order to V / so as to V → ~하기 위해서
so as to V는 공식적이고 격식있는 표현으로 쓰이고,
in order to V 가 일반적으로 더 자주 쓰인다.
예시)
They saved money in order to buy a new house.
= They saved money so as to buy a new house.
그들은 새 집을 사기 위해서 돈을 저축했다.
2. 결과
🔽 so + [형용사/부사] + that ~ → 너무 ~해서 ~하다.
🔽 such + 형용사 + 명사 + that ~ → 너무 ~해서 ~하다.
예시)
She was so tired that she couldn't keep her eyes open.
그녀는 너무 지쳐서 눈을 뜨고 있을 수 없었다.
He ran so quickly that he finished first.
그는 너무 빠르게 달려서 1등으로 도착했다.
They made such a loud noise that everyone could hear them.
그들은 너무 큰 소음을 내서 모두가 들을 수 있었다.
※ 참조
so + 형용사 + 명사 구조와
such + 형용사 + 명사 구조의 차이
→ So 는 부사로서 바로 뒤의 형용사만을 강조하는 단어고,
Such는 형용사로서 명사(구)를 강조하는 단어이며, 형용사+명사를 하나의 명사구로 간주하기 때문에
두 표현은 각각 관사의 위치가 다르다.
예시)
So kind a man
= Such a kind man
정말 친절한 남자
So beautiful a day
= Such a beautiful day
정말 아름다운 날
3. 부정의 목적
🔽 lest + S + should + 동사원형 → S가 ~할까봐 / S가 ~하지 않도록
should를 생략할 수 있으며, should를 생략하더라도 그대로 동사원형이 쓰인다.
should를 생략하지 않는게 더 명확하고 격식있는 표현이다.
예시)
He spoke quietly lest he should wake the baby.
= He spoke quietly for fear that he should wake the baby.
= He spoke quietly for fear of waking the baby.
= He spoke quietly in order not to wake the baby.
= He spoke quietly so as not to wake the baby.
그는 아이를 깨울까봐 조용하게 말했다.
= 그는 아이를 깨우지 않도록 조용하게 말했다.
※ 참조
in case that S + should + 동사원형 → ~할 경우에 대비해서
다만, lest S should 는 걱정에 가까운 표현이고
얘는 그냥 대비한다는 뉘앙스다.
that과 should를 생략할 수 있다.
단, in case that 은 뒤에 should를 생략하면 동사원형이 아니라 현재형 동사를 써야한다.
He backed up all his files in case that his computer should crash.
= He backed up all his files in case his computer crashes.
그는 그의 컴퓨터가 고장날 경우를 대비해서 모든 파일을 백업했다.
④ 조건,양보, 양태의 종속접속사
1. 조건
주의점!
시간과 조건을 나타내는 부사절에서는 미래시제라도 will을 쓰지 않고 현재형 동사를 써야한다.
🔽 if + S + V
'만약 S가 V하면' 이라는 의미로 조건을 나타내는 부사절을 이끈다.
예시)
If it rains tomorrow, we will cancel the picnic.
만약 내일 비가 온다면, 우리는 소풍을 취소할 것이다.
→ If it will rain tomorrow, we will cancel the picnic.(X)
🔽 unless
'만약 S가 V하지 않으면' 이라는 의미로 조건을 나타내는 부사절을 이끌며, 자체적으로 동사를 부정하기 때문에 부정문으로 쓰면 안된다.
if not 과 같은 의미다.
예시)
I will go to the park unless it rains tomorrow.
= I will go to the park if it doesn't rain tomorrow.
내일 비가 안온다면 나는 공원에 갈 것이다.
→ I will go to the park unless it doesn't rain tomorrow.(X)
→ I will go to the park unless it will rain tomorrow.(X)
※ 참조
조건을 나타내는 여러가지 어구들
엄밀히 따지면 접속사가 아니라 동사,분사로 분류되지만
조건을 나타내는 접속사처럼 쓸 수 있다.
🔽 provided that + S + V , providing that + S + V → S가 V하기만 하면 , S가 V한다는 조건으로
that은 생략해도 된다.
if only (~하기만 한다면)는 강한 후회나 소망을 나타내는 가정법 표현이고
얘는 그냥 단순 조건을 말한다.
예시)
Provided that you finish your homework, you can watch TV.
네 숙제를 끝내기만 하면, 티비를 봐도 된다.
We can start the construction next month providing that we obtain the necessary permits.
우리가 필요한 허가들을 얻기만 하면, 다음달에 공사를 시작할 수 있다.
🔽 suppose + S + V , supposing that + S + V → S가 V한다고 가정하면
that은 생략 가능하다.
예시)
Suppose we miss the last train. How will we get home?
우리가 마지막 기차를 놓친다고 가정해봐. 어떻게 집에 갈꺼야?
→ suppose 같은 경우 동사의 명령형 문장에 속하기 때문에 콤마(,)로 문장을 이어가기 보다는 개별 문장으로 따로 쓴다.
Supposing it rains tomorrow, what will we do?
내일 비가온다고 가정하면, 우리는 뭘 할까?
→ Supposing it will rain tomorrow, what will we do?(X)
2. 양보
🔽 though, although, even if , even though → 비록 ~라 할지라도
예시)
Even if I fail, I will learn something new.
비록 내가 실패 할지라도, 무언가 새로운 것을 배울 것이다.
Even though he apologized, she was still angry.
그가 사과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여전히 화나있었다.
※ 참조
granted → ~하긴 하지만
granting (that) + S + V → S가 V한다 할지라도
엄밀히 따지면 접속사가 아니라 분사로 구분되지만,
양보의 의미를 가지는 문장을 끌고올 수 있다.
granted의 확실한 것이나 사실을 인정하면서 문장을 진행하고,
granting의 경우 가정이나 가능성으로 문장을 진행하는 것이다.
예시)
Granted, he doesn't have much experience, but he's a quick learner.
그는 많은 경험이 없긴 하지만, 빠르게 배우는 사람이다.
Granting that he is telling the truth, we still need more evidence.
그가 사실을 말한다 할지라도, 우리는 여전히 더 많은 증거가 필요하다.
🔽 whether + S + V or not → S가 V하는지 안하는지 상관없이
예시)
Whether you like it or not, we have to follow the rules.
네가 그것을 좋아하든 말든, 우리는 규칙을 따라야한다.
🔽 [형용사/명사/부사] + [as/though] + S + V ~ → ~라 할지라도,~했지만.
형용사,명사,부사를 강조하기 위한 표현이며, 공식적이거나 문학적인 글에 주로 쓰인다.
as/though 중에 아무거나 써도 상관없긴 하지만,
형용사,부사를 강조할 때 as가 선호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앞으로 나가서 강조된 명사에는 관사(a,the)를 붙이지 않는다.
예시)
Young as he is, he has a lot of experience.
그는 젊긴 하지만, 많은 경험을 가지고 있다.
Child though he was, he understood the gravity of the situation.
그가 어린아이였을지라도, 그 상황의 심각성을 이해했다.
Quickly as she ran, she missed the bus.
그녀는 빠르게 달렸지만, 버스를 놓쳤다.
3. 양태
어떤 일이 발생하는 방식이나 형태와 관련된 문장을 끌고와준다.
🔽 [just as/as] + S + V → S가 V하는 대로, S가 V하는 것처럼
예시)
Do it just as I showed you.
딱 내가 보여준 것처럼 해라
Everything happened as I had said.
모든 일이 내가 말한 대로 일어났다.
부사절을 이끄는 종속 접속사 요약
부사절
문장에서 주어,목적어,보어 등의 역할을 하지않고 문장에 대한 설명을 추가해주며, 문장의 구성요소가 아니기 때문에 사라져도 문장이 완결된다.
① 시간과 관련된 절을 가져오는 종속접속사
🔽 [when/as] + S + V → S가 V할 때
🔽 whenever + S + V → S가 V할 때마다 / 언제 S가 V 하든지
🔽 before + S + V → S가 V 하기 전에
🔽 after + S + V → S가 V 한 후에
🔽 Since + S + V → S가 V한 이후로,때부터 / S가 V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현재완료,과거완료형 문장과 함께 쓰일 때, '이후로' 의 의미로 쓰이고
대부분의 문장에서는 '때문에'의 의미로 쓰인다.
🔽 Until + S + V → S가 V할 때까지
🔽 as soon as + S + V → S가 V하자마자
= No sooner + had + S + p.p than + S + 과거동사
= 부정부사(Hardly,Scarcely,Seldom 등) + had + S + p.p + [when/before] + S + 과거동사
다만, 이 두 가지 표현은 과거시제일때만 사용가능.
② 원인을 나타내는 종속접속사
문장에서 인과관계는 중심내용을 암시하므로 주의깊게 봐야한다.
1. since / as / now that
인과관계를 나타내는 종속접속사로 가벼운 이유를 나타낸다.
🔽 Since + S + V → S가 V하기 때문에
듣는 사람도 알고 있는 사실이나 명백한 이유를 제시할 때 주로 쓰인다.
🔽 as + S + V → S가 V하기 때문에
듣는 사람도 알고 있는 사실이나 딱히 중요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 말할 때 사용하며, 이유를 설명하기 보다는 상황을 부드럽게 연결해주는 느낌이다.
🔽 now that + S + V → 지금 S가 V하니까 / S가 V한 지금
현재 시점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으로 인한 현재나 미래 상황의 변화를 말할 때 쓰는 표현이다.
Now that 뒤의 시제는 보통 현재시제나 현재완료(have+p.p)시제를 사용한다.
2. because
인과관계를 나타내는 종속접속사로 강한 인과관계를 나타낸다.
원인 부분이 듣는 사람이 모르던 새로운 정보로서 제공되는 경향이 있으며,
결과 뿐만 아니라 원인 또한 중요한 정보로서 강조하는 뉘앙스가 있다.
③ 목적,결과를 나타내는 종속접속사
1. 목적
🔽 so that + S + [will/can/may] + 동사원형 → S가 ~하기 위해서
과거 시제 문장일 때는 조동사 또한 과거형(would,could,might)으로 적어야 한다는 점에 주의하자.
문장의 의미가 명확한 경우, 조동사를 생략할 수 있긴 하지만 안하는게 더 낫다.
또한 조동사를 생략하더라도 뒤에 나오는 동사는 동사원형으로 써야한다.
2. 결과
🔽 so + [형용사/부사] + that ~ → 너무 ~해서 ~하다.
🔽 such + 형용사 + 명사 + that ~ → 너무 ~해서 ~하다.
3. 부정의 목적
🔽 lest + S + should + 동사원형 → S가 ~할까봐 / S가 ~하지 않도록
should를 생략할 수 있으며, should를 생략하더라도 그대로 동사원형이 쓰인다.
should를 생략하지 않는게 더 명확하고 격식있는 표현이다.
④ 조건,양보, 양태의 종속접속사
1. 조건
주의점!
시간과 조건을 나타내는 부사절에서는 미래시제라도 will을 쓰지 않고 현재형 동사를 써야한다.
🔽 if + S + V
'만약 S가 V하면' 이라는 의미로 조건을 나타내는 부사절을 이끈다.
🔽 unless
'만약 S가 V하지 않으면' 이라는 의미로 조건을 나타내는 부사절을 이끌며, 자체적으로 동사를 부정하기 때문에 부정문으로 쓰면 안된다.
if not 과 같은 의미다.
2. 양보
🔽 though, although, even if , even though → 비록 ~라 할지라도
🔽 whether + S + V or not → S가 V하는지 안하는지 상관없이
🔽 [형용사/명사/부사] + [as/though] + S + V ~ → ~라 할지라도,~했지만.
3. 양태
어떤 일이 발생하는 방식이나 형태와 관련된 문장을 끌고와준다.
🔽 [just as/as] + S + V → S가 V하는 대로, S가 V하는 것처럼
'영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5. 장소를 나타내는 전치사 (1) | 2024.10.16 |
---|---|
14-4. 시간을 나타내는 전치사 (3) | 2024.10.16 |
14-2. 명사구/절을 이끄는 종속 접속사 (1) | 2024.10.15 |
14-1. 등위 접속사 (6) | 2024.10.14 |
13-2. 원급, 최상급 표현 (3) | 2024.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