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3. 성상형용사

2024. 10. 9. 07:38영문법

728x90
반응형

11-3. 성상형용사

 

 

성상형용사

명사의 성질과 상태를 설명하는 형용사

 

① 명사 수식

명사 앞에 위치하여 명사를 직접 수식하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

 

예시)

He is kind man.

그는 친절한 남자.

→ He is man kind.(X)

 

※ 참조

형용사 and 형용사

 

형용사 and 형용사 구조는 문학적인 표현을 하고싶을 때 명사 뒤에 쓸 수 있다.

 

예시)

문학적인 표현

He had a face thin and worn, but eager and resolute.

그는 야위고 지친 얼굴이었으나, 열의있고 확고한 얼굴이기도 했다.

 

일반적인 표현

He had a thin and worn, but eager and resolute face.

 

 

② 보어

동사들과 함께 쓰여서, 주어나 목적어의 상태를 설명해준다.

'~하게' 라고 해석되는 경우가 많아서 나도 모르게 부사로 써버릴 수 있으니 주의하자. 부사는 보어로 못쓴다.

 

예시)

The flowers smell sweet.

저 꽃들은 달콤한 냄새가 난다.

 

She made him happy.

그녀는 그를 행복하게 만들었다.

→ She made him happily.(X)

 

 

③ 전치수식만 해야하는 형용사

특정 형용사는 항상 명사 바로 앞에만 써야하고, 보어로 쓰지 않는다.

 

main    주요한

drunken    술 취한

elder    손 위의

former    이전의

latter    후자의

the only    유일한

the very    바로 그

inner    내부의

outer    외부의

wooden    나무로 된

sole    유일한

lone    혼자의,외톨이의

utter    심한, 대단한

utmost    최고의

mere    단순한

등등

 

예시)

He is drunken man.

그는 술취한 남자.

 

The man was drunken.(X) 해당 형용사는 보어로 쓰지않고 명사 바로 앞에 써야하기 때문에, 똑같은 뜻을 가진 다른 형용사를 써야한다.

→ The man was drunk.(O)

그 남자는 술에 취했다.

 

He is my elder brother.

그는 나의 손 위의 형제(=오빠,형)이다.

→ My brother is elder.(X)

 

※ 참조

older brother, older sister 보다 더 격식있는 표현이다.

 

 

 

 

④ 후치수식이나 보어로만 써야하는 형용사

 

1. 측정 단위

수를 나타내는 단위와 연관해서 함께 쓰이는 일부 형용사들의 경우 후치수식이나 보어로만 써야한다.

 

🔽 숫자 + 길이 단위 + long(길이의)

🔽 숫자 +너비(폭)단위 + wide(너비의,폭의)

🔽 숫자 + 높이 단위 + tall(높이의)

🔽 숫자 + 나이 단위(years) + old(나이의)

 

등등

 

하이픈('-')을 연결 해서 단위를 나타낼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명사 바로 앞에서 전치수식만 가능하며, 보어로 사용할 수 없고, 단위를 항상 단수형태로 적어줘야 한다.

 

🔽 숫자-단수 길이 단위-long(길이의)

🔽 숫자-단수 너비(폭)단위-wide(너비의,폭의)

🔽 숫자-단수 높이 단위-tall(높이의)

🔽 숫자-year-old(나이의)

등등

 

예시)

The rope is 10 meters long.

저 로프는 10미터 길이이다.

→ The rope is 10-meter-long.(X) 하이픈 단위로 표시하는 경우 명사 바로 앞에만 쓸 수 있으며 보어로 쓸 수 없음.

 

It is a 10-meter-long rope.

그것은 10미터 길이의 로프이다.

→ It is a 10 meters long rope.(X) 하이픈 단위 표시가 아닌 경우 명사 뒤에서 후치수식하거나 보어로만 쓸 수 있다.

 

 

A building 100 feet tall is at the corner.

= There is a 100-foot-tall building at the corner.

100피트 높이의 빌딩이 모퉁이에 있다.

 

 

A man 85 years old.

= 85-year-old man.

85세의 남자.

 85 years old man(X) 하이픈 없는 표현은 후치수식이나 보어만 가능.

 

 

 

※ 참조

넓이랑,부피는 예외적으로 단위자체에(square 제곱, cubic 세제곱) 넓이,부피의 뜻이 들어가 있어서 

굳이 뒤에 Area나 Volume 같은걸 쓰지 않으며,

명사구로 간주되기 때문에 하이픈이 없다면 보어로만 쓴다.

 

예시)

It is a 300-square-meter room.

그것은 300m² 넓이의 방이다.

→ It is a room 300 square meters.(X)

얘는 안타깝게도 형용사가 아니라 명사구로 간주해서 후치수식은 못해준다.

→ The room is 300 square meters.(O)

보어로는 쓸 수 있음.

 

 

 

It is a 1,000-cubic-centimeter water bottle.

그것은 1000cc 부피의 물통이다. 

→ It is a water bottle 1,000 cubic centimeters.(X)

얘 또한 안타깝게도 형용사가 아니라 명사구로 간주해서 후치수식은 못해준다.

 

→ It is a water bottle that can hold 1,000 cubic centimeters.(O)

그것은 1000cc를 담을 수 있는 물통이다.

 

 

 

2. 형용사 뒤에 전치사 또는 to V를 동반할 때

전치사나 to V를 동반하는 형용사 표현들은 후치수식만 한다.

 

Worried about ~에 대해 걱정하는.

anxious about ~에 대해 걱정하는.

anxious for ~을 갈망하는.

anxious to V ~하기를 갈망하는.

interested in ~에 관심을 가진.

responsible for ~에 대한 책임이 있는

등등

 

예시)

He is a student interested in history.

그는 역사에 관심을 가진 학생이다.

 

She is a person anxious to help others.

그녀는 남을 돕기를 갈망하는 사람이다.

 

 

3. [-thing, -body, -one]을 수식할 때

 [-thing, -body, -one] 형태의 명사를 수식할 때는 항상 형용사가 뒤에서 수식한다.

 

 

예시)

She is looking for something interesting to read.

그녀는 읽기위한 무언가 흥미로운 것을 찾는 중이다.

→ She is looking for interesting something to read.(X)

 

Nobody special came to the event.

특별한 사람은 아무도 오지 않았다.

 Special nobody came to the event.(X)

 

I met someone interesting at the conference.

나는 그 회담에서 흥미로운 누군가를 만났다.

→ I met interesting someone at the conference.(X)

 

 

4. 반드시 후치수식 또는 보어로만 쓰는 형용사들

일부 형용사들은 항상 후치수식이나 보어로만 쓰인다.

a로 시작하는 형용사가 좀 많다.

 

afraid 두려워하는

alike 비슷한

alive 살아있는

alone 외로운,혼자인

asleep 잠이든

ashamed 부끄러운

awake 깨어있는

aware 인지하는

absent 결석한

content 만족한

worth 가치있는

등등

 

예시)

The baby is asleep.

그 아기는 잠들어 있다.

→ The asleep baby (X)

 

The twins look alike.

그 쌍둥이는 비슷하게 생겼다.

→ The alike twins(X)

 

The workers content with their jobs are more productive.

자신의 일에 만족하는 노동자들은 더 생산적이다.

→ The content worker(X)

 

 

 

⑤ the +[형용사/ing/p.p]

정관사 the 와 형용사/ing/p.p를 함께 써서 명사로 만들 수 있으며, 사람들 또는 추상적인 개념을 나타낸다.

'~한 사람들' 이라는 의미로 쓰일 때는 뒤에 복수동사가,

'~한 것' 이라는 추상적 개념의 의미로 쓸 때는 뒤에 단수동사가 온다.

국가 형용사와 함께 쓰이면 해당 국가의 사람들을 의미한다.

 

기본적인 문장 형태



예시)

The rich are often misunderstood.

부유한 사람들은 종종 오해를 받는다.

 

The singing were all gathered around the piano.

노래하고 있는 사람들은 모두 피아노 주변에 모여있었다.

 

The injured were taken to the hospital.

부상입은 사람들이 병원으로 이송되었다.

 The injuring (X) 이 경우, 부상을 입은 사람이 아니라 남을 부상 입히고 있는 사람들이라는 뜻이 되어버린다.

 

The unknown is frightening.

미지의 것은 두렵다.

 

 

국가 형용사

Korean 한국의, 한국어

 The Korean 한국 사람들

 

Japanese 일본의, 일본어

 The Japanese 일본 사람들

 

English 영국의, 영어

 The English 영국 사람들

 

 

 

⑥ be + 형용사 + of

주로 감정이나, 특징을 나타내는 형용사와 함께

전체를 하나의 타동사로서 사용한다.

 

be proud of ~을 자랑스러워 하다.

be neglectful of ~를 방치하다,소홀히 하다.

be considerate of ~을 고려하다.

be productive of ~을 생산하다,만들다.

be afraid of ~을 두려워하다.

be fond of ~을 좋아하다.

be aware of ~을 알고있다.

등등

 

예시)

She is proud of her son.

그녀는 그녀의 아들을 자랑스러워 한다.

 

They are aware of the problem.

그들은 그 문제를 알고있다.

 

 

⑦ 형용사, S + V (분사구문)

분사구문에서 Being, Having been 은 생략이 가능하며, 형용사 앞의 Being 또는 Having been을 생략한 문장은 아래와 같은 형태가 된다. 
 
문맥에 따라 '~한', '~했던' 둘 중 하나로 해석하면 된다.
 
상세한 해석이 필요하다면
때,때문에,하지만,하면,하면서 중에 하나를 골라 해석하면 된다.
 
 
기본적인 문장 형태
 
 
예시)
Being tired, she went to bed early.
= Tired, she went to bed early.
피곤하기 때문에, 그녀는 일찍 자러 갔다. (= 피곤한 그녀는 일찍 자러 갔다.)
 
 
 
Having been tired, she went to bed early.
Tired, she went to bed early.
피곤했기 때문에, 그녀는 일찍 자러 갔다. (= 피곤했던 그녀는 일찍 자러 갔다.)

 

 
 
※ 참조
분사구문에서 Being을 쓰면 해당 동작과 본동사가 일어난 시점이 같다.
 
Having been을 쓰면 해당 동작이 일어난 시점이 본동사가 일어난 시점 보다 먼저 일어난 것이다.
 
 
예시)
Being tired, she went to bed early.
피곤하기 때문에 그녀는 일찍 자러 갔다.
→ 피곤함을 느낀것과 자러가는 행동이 일어난 시기가 같음.
즉, 피곤함을 느끼자마자 자러갔음.
 
 
 
Having been tired, she went to bed early.
피곤했기 때문에 그녀는 일찍 자러 갔다.
→ 피곤함을 느낀게 자러가는 동작 보다 훨씬 먼저 일어남.
즉, 아까부터 계속 피곤함을 느껴오다가 자러 갔음.
 
 

 

⑧ 형용사를 쓰는 순서

주로 전문적인 영어시험(TOEFL,GRE 등) 에서 요구되며,

순서는 아래와 같다.

 

 

1. 관사 (article) : The, a, an 등

2. 수량 (quantity) : one, two, three 등

3. 의견 (opinion):  beautiful, ugly, lovely 등 매우 주관적 내용

4. 크기 (size) : big, small, large, tiny 등

5. 모양 (shape) : round, square, triangular 등

6. 상태 (condition) : clean, dirty, wet, dry 등 시각적,물리적인 , 주관성이 덜 한 객관적 내용.

7. 신/구 (new/old) : old, young, new, ancient 등

8. 색깔 (color) : red, blue 등

9. 출신/기원 (origin) : American, Korean, French 등

10. 재질 (material) : wooden, plastic, metal 등

 

예시)

The three beautiful large round clean new red French wooden dining tables.

3개의 아름답고 크고 둥글고 깨끗한 새로운 붉은색의 프랑스산 목재 식탁들.

 

 

The beautiful blue chair.

아름다운 파란 의자.

→ The blue beautiful chair.(X) 틀린문장.

 

 

※ 참조

같은 카테고리에 속한다면 순서가 딱히 상관없다.

일반적으로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를 여러 개 쓰는 경우가 잦다.

 

예시)

 She had a bright and cheerful smile.(O)

그녀는 밝고 명랑한 미소를 지었다.

→ She had a cheerful and bright smile.(O)

그녀는 명랑하고 밝은 미소를 지었다.

 

둘 다 맞음.

 

 

 

성상형용사 요약

 

성상형용사

명사의 성질과 상태를 설명하는 형용사

 

① 명사 수식

명사 앞에 위치하여 명사를 직접 수식하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

 

② 보어

동사들과 함께 쓰여서, 주어나 목적어의 상태를 설명해준다.

 

'~하게' 라고 해석되는 경우가 많아서 나도 모르게 부사로 써버릴 수 있으니 주의하자. 부사는 보어로 못쓴다.

 

 

③ 전치수식만 해야하는 형용사

특정 형용사는 항상 명사 바로 앞에만 써야하고, 보어로 쓰지 않는다.

 

main    주요한

drunken    술 취한

elder    손 위의

former    이전의

latter    후자의

the only    유일한

the very    바로 그

inner    내부의

outer    외부의

wooden    나무로 된

sole    유일한

lone    혼자의,외톨이의

utter    심한, 대단한

utmost 최고의

mere 단순한

 

등등

 
 

④ 후치수식이나 보어로만 써야하는 형용사

 

1. 측정 단위

수를 나타내는 단위와 연관해서 함께 쓰이는 일부 형용사들의 경우 후치수식이나 보어로만 써야한다.

 

🔽 숫자 + 길이 단위 + long(길이의)

🔽 숫자 +너비(폭)단위 + wide(너비의,폭의)

🔽 숫자 + 높이 단위 + tall(높이의)

🔽 숫자 + 나이 단위(years) + old(나이의)

 

등등

 

하이픈('-')을 연결 해서 단위를 나타낼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명사 바로 앞에서 전치수식만 가능하며, 보어로 사용할 수 없고, 단위를 항상 단수형태로 적어줘야 한다.

 

🔽 숫자-단수 길이 단위-long(길이의)

🔽 숫자-단수 너비(폭)단위-wide(너비의,폭의)

🔽 숫자-단수 높이 단위-tall(높이의)

🔽 숫자-year-old(나이의)

등등

 

 

2. 형용사 뒤에 전치사 또는 to V를 동반할 때

전치사나 to V를 동반하는 형용사 표현들은 후치수식만 한다.

 

Worried about ~에 대해 걱정하는.

anxious about ~에 대해 걱정하는.

anxious for ~을 갈망하는.

anxious to V ~하기를 갈망하는.

interested in ~에 관심을 가진.

responsible for ~에 대한 책임이 있는

등등

 

 

3. [-thing, -body, -one]을 수식할 때

 [-thing, -body, -one] 형태의 명사를 수식할 때는 항상 형용사가 뒤에서 수식한다.

 
 
 

4. 반드시 후치수식 또는 보어로만 쓰는 형용사들

일부 형용사들은 항상 후치수식이나 보어로만 쓰인다.

a로 시작하는 형용사가 좀 많다.

 

afraid 두려워하는

alike 비슷한

alive 살아있는

alone 외로운,혼자인

asleep 잠이든

ashamed 부끄러운

awake 깨어있는

aware 인지하는

absent 결석한

content 만족한

worth 가치있는

등등

 

 

⑤ the +[형용사/ing/p.p]

정관사 the 와 형용사/ing/p.p를 함께 써서 명사로 만들 수 있으며, 사람들 또는 추상적인 개념을 나타낸다.

'~한 사람들' 이라는 의미로 쓰일 때는 뒤에 복수동사가,

'~한 것' 이라는 추상적 개념의 의미로 쓸 때는 뒤에 단수동사가 온다.

국가 형용사와 함께 쓰이면 해당 국가의 사람들을 의미한다.

 

기본적인 문장 형태
 
 
 

⑥ be + 형용사 + of

주로 감정이나, 특징을 나타내는 형용사와 함께

전체를 하나의 타동사로서 사용한다.

 

be proud of ~을 자랑스러워 하다.

be neglectful of ~를 방치하다,소홀히 하다.

be considerate of ~을 고려하다.

be productive of ~을 생산하다,만들다.

be afraid of ~을 두려워하다.

be fond of ~을 좋아하다.

be aware of ~을 알고있다.

등등

 

 

⑦ 형용사, S + V (분사구문)

분사구문에서 Being, Having been 은 생략이 가능하며, 형용사 앞의 Being 또는 Having been을 생략한 문장은 아래와 같은 형태가 된다. 
 
문맥에 따라 '~한', '~했던' 둘 중 하나로 해석하면 된다.
 
상세한 해석이 필요하다면
때,때문에,하지만,하면,하면서 중에 하나를 골라 해석하면 된다.
 
 
기본적인 문장 형태
 
 
 

⑧ 형용사를 쓰는 순서

주로 전문적인 영어시험(TOEFL,GRE 등) 에서 요구되며,

순서는 아래와 같다.

 

1. 관사 (article) : The, a, an 등

2. 수량 (quantity) : one, two, three 등

3. 의견 (opinion):  beautiful, ugly, lovely 등 매우 주관적 내용

4. 크기 (size) : big, small, large, tiny 등

5. 모양 (shape) : round, square, triangular 등

6. 상태 (condition) : clean, dirty, wet, dry 등 시각적,물리적인 , 주관성이 덜 한 객관적 내용.

7. 신/구 (new/old) : old, young, new, ancient 등

8. 색깔 (color) : red, blue 등

9. 출신/기원 (origin) : American, Korean, French 등

10. 재질 (material) : wooden, plastic, metal 등

 
728x90
반응형

'영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2. 부사 사용시 주의점  (5) 2024.10.11
12-1. 부사의 형태와 역할  (0) 2024.10.10
11-2. 수량형용사  (1) 2024.10.08
11-1. 대명형용사  (0) 2024.10.07
10-2. 주의해야 할 가정법 구문들  (5) 2024.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