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9. 23. 07:36ㆍ영문법
8. 조동사
8-1. 조동사 - Can & Could
조동사의 기본 원칙
조동사 뒤에는 동사원형을 사용해야한다.
조동사는 연달아서 쓸 수 없다.
할 수 있을 것이다. = will can(X) → will be able to V(O)
조동사 + have + p.p 형태는 동작이 일어난 시간이 과거다.
(단, will have p.p 미래완료 표현은 제외)
현재형 문장에서는 모든 조동사를 사용가능하지만,
과거형 문장에서는 조동사 또한 과거형(wouold,should,could,might)을 써야하며,
현재형 조동사(will,shall,can,may)를 쓸 수 없다.
예시)
I can swim when I was a child. (X)
→I could swim when I was a child.(O)
내가 어렸을 때 나는 수영할 수 있었다.
※ 참조
일반적으로 현재형 문장에서 과거형 조동사를 쓰면 좀 더 공손하고, 가능성이 좀 더 낮거나 덜 확신하는 뉘앙스가 있다.
예시)
It will rain tomorrow.
내일 비가 올것이다.
→ 확신하는 느낌의 뉘앙스
It would rain tomorrow.
내일 비가 올 수도 있을 것이다.
→ will 보다는 가능성이 좀 더 낮고 덜 확신하는 뉘앙스
Can we meet tomorrow?
내일 만날 수 있을까?
Could we meet tomorrow?
내일 만날 수 있겠습니까?
조동사 - Can & Could
(1) 능력,가능
~할 수 있다. 의 의미를 지닌다.
be able to V 로 바꾸어 쓸 수 있다.


예시)
I can swim.
= I could swim
= I am able to swim
나는 수영할 수 있다.
They could have helped us yesterday.
그들은 어제 우리를 도왔을 수도 있었다.
→ 과거 상황에 대한 유감표현. 실제로는 안도와줬음.
※ 참조
They could help us yesterday.
그들은 어제 우리를 도울 수 있었다.
→ 유감표현이 아님. 말 그대로 도울 수 있었다는 사실을 전함.
(2) 허가
~해도 좋다. ~해도 된다. 의 의미를 지닌다
구어체에서 may보다 더 자주 쓰인다.
예시)
You can leave early today.
너는 오늘 일찍 떠나도 된다.
Could I open the window?
창문을 열어도 되겠습니까?
(3) 의심 및 부정적 추측
🔽 의심
조동사 Can이 주로 be동사와 함께 쓰여서 S가 ~일까? 하고 의심하는 표현으로 쓰일 수 있다.
could를 쓰면 좀 더 공손하고 can보다는 덜 의심하는 뉘앙스를 준다.

예시)
[Can/Could] she really be the one who solved the problem?
과연 그녀가 정말로 그 문제를 해결했던 사람[일까/일까요]?
🔽 부정적 추측
주로 'cannot + have p.p' 형태로 부정적인 추측을 한다.
'cannot + be' 외에 'cannot + 동사원형'은
'~할리가 없다'라는 의미보다는
'~할 수 없다' 라는 의미로 쓰인다.
마찬가지로 could not을 쓰면 좀 더 공손하고,
강하게 부정하는 cannot에 비해서 약간의 여지는 남기는 뉘앙스가 있다.
※ 참조
Cannot = Can't
Cannot 은 주로 문어체나 공식적 표현에서 자주 쓰이고,
Can't는 주로 일상적인 대화표현이나 비공식적인 글에 자주 쓰인다.

예시)
This [cannot/could not] be true.
이게 사실일리가 [없다/없습니다].
She [cannot/could not] have finished the project in just one day.
그녀가 그 프로젝트를 단 하루만에 끝냈을리가 [없다/없습니다].
(4) 강조를 위한 역설적인 용법
단순히 과장할 수 없다는 뜻이 아니다.
아무리 과장해도 충분하지 않다는 뜻이니 해석 실수를 하지말자.

예시)
We cannot overestimate the importance of education.
= It is impossible to overestimate the importance of education.
교육의 중요성은 아무리 과장해도 지나치지 않다.
You cannot be too careful when it comes to online security.
= It is impossible to be too careful when it comes to online security.
온라인 보안에 관한한 아무리 주의를 기울여도 지나치지 않다.
조동사 Can & Could 요약
1. 조동사의 기본 원칙
조동사 뒤에는 동사원형을 사용해야한다.
조동사는 연달아서 쓸 수 없다.
할 수 있을 것이다. = will can(X) → will be able to V(O)
조동사 + have + p.p 형태는 동작이 일어난 시간이 과거다.
(단, will have p.p 미래완료 표현은 제외)
현재형 문장에서는 모든 조동사를 사용가능하지만,
과거형 문장에서는 조동사 또한 과거형(wouold,should,could,might)을 써야하며,
현재형 조동사(will,shall,can,may)를 쓸 수 없다.
2. Can & Could
(1) 능력,가능
~할 수 있다. 의 의미를 지닌다.
be able to V 로 바꾸어 쓸 수 있다.


(2) 허가
~해도 좋다. ~해도 된다. 의 의미를 지닌다
구어체에서 may보다 더 자주 쓰인다.
(3) 의심 및 부정적 추측
🔽 의심
조동사 Can이 주로 be동사와 함께 쓰여서 S가 ~일까? 하고 의심하는 표현으로 쓰일 수 있다.
could를 쓰면 좀 더 공손하고 can보다는 덜 의심하는 뉘앙스를 준다.

🔽 부정적 추측
주로 'cannot + have p.p' 형태로 부정적인 추측을 한다.
'cannot + be' 외에 'cannot + 동사원형'은
'~할리가 없다'라는 의미보다는
'~할 수 없다' 라는 의미로 쓰인다.
마찬가지로 could not을 쓰면 좀 더 공손하고,
강하게 부정하는 cannot에 비해서 약간의 여지는 남기는 뉘앙스가 있다.

(4) 강조를 위한 역설적인 용법
단순히 과장할 수 없다는 뜻이 아니다.
아무리 과장해도 충분하지 않다는 뜻이니 해석 실수를 하지말자.

'영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8-3. 조동사 Must (0) | 2024.09.25 |
---|---|
8-2. 조동사 May & Might (11) | 2024.09.24 |
7-3. 주의해야 할 수동태 (1) | 2024.09.22 |
7-2. 수동태의 시제와 문장 활용 (2) | 2024.09.20 |
7-1. 기본 문형의 수동태 (0) | 2024.09.17 |